티스토리 뷰
삼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으로 음력 6월과 7월 사이에 위치합니다.
삼복은 중국에서 유래된 속절로 추측되며, 조선시대에 간행된 동국세시기에는 삼복 제사를 지낸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내용에서는 성의 4대 문 안에서 개를 잡아 충재(충추재해)를 방지하는 의미로 삼복 제사를 지냈다고 전해집니다.
삼복의 정의
삼복은 초복, 중복, 말복이라는 세 가지 경일을 말합니다. 초복은 하지 후 세 번째 경일(庚日), 중복은 네 번째 경일(庚日), 말복은 입추 이후 첫 경일(庚日)을 가리킵니다.
2023년 복날
초복 | 중복 | 말복 |
7월 11일 화요일 | 7월 22일 금요일 | 8월 10일 목요일 |
삼복은 보통 10일 간격이지만, 해에 따라 중복과 말복 사이의 간격이 20일이 되기도 하는데 이를 월복(越伏)이라고 부릅니다. 삼복은 가장 더운 시기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풍습과 관습이 형성되었습니다.
삼복의 풍습
삼복은 뜨거운 여름을 맞이하는 시기로, 다양한 풍습이 형성되었습니다. 먼저, 여름과일을 즐기는 풍습이 있습니다. 아이들과 부녀자들은 여름과일을 즐기며, 어른들은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산간계곡으로 나가 탁족(몸 씻기)을 즐겼습니다.
해안 지방에서는 바닷가에서 모래찜질을 하며 더위를 이겨내기도 했다고 합니다. 또한 삼복과 관련된 속신으로 복날에 시내나 강에서 목욕을 하면 몸이 여윈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속신 때문에 복날에는 아무리 더워도 목욕을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만약, 초복에 목욕을 한 경우에는 중복과 말복 날에도 목욕을 해야 몸이 여유로워진다고 믿었습니다.
삼복의 음식
삼복에 음식은 기운을 회복시켜 주고 더위를 이겨내기 위한 음식들을 챙겨 먹었습니다. 가장 유명한 음식은 삼계탕입니다. 삼계탕은 닭과 인삼, 대추, 찹쌀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열기를 식혀주고 체력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더위를 이기고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선호되는 음식입니다.
팥죽도 삼복에 먹는 전통적인 음식 중 하나입니다. 팥죽은 더위를 많이 먹지 않고 질병에 걸리지 않는다는 믿음 때문에 삼복 동안 많이 먹던 음식입니다. 팥죽은 부드러운 식감과 달콤한 맛으로, 삼복 동안 건강을 챙기는 데 도움을 줍니다.
보양음식으로 건강 챙기기
삼복의 더위를 이기기 위해 보양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삼복 기간 동안 식욕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 다양한 보양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오곡밥, 콩나물국, 시금치나물, 고구마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여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습니다.
삼복은 더위를 이기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속절로, 삼복 기간 동안 특별한 음식을 즐기며 건강을 챙기시기 바랍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 문제, 정부 입장 (0) | 2023.07.05 |
---|---|
무효 트래픽 광고 게재 제한, 블로그 이사 고민 (1) | 2023.07.05 |
여드름 치료법 (0) | 2023.07.01 |
카페인 권장량 (0) | 2023.06.30 |
유통기한, 소비기한 차이 (0)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