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T

AI 윤리 국가표준 제정

큐사 2023. 6. 14. 14:43
반응형

인공지능(AI) 기술의 급속한 확산과 함께 AI의 윤리적 사용 문제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습니다.

AI 윤리-국가표준-제정-썸네일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AI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 시에 윤리적 고려사항과 자가 점검 방안을 제시하는 국가표준(KS)을 최근 제정하였습니다. 이를 소개하는 설명회인 AI 윤리 KS 제정 설명회도 개최되었습니다.

KS 제정 배경과 과정

국가기술표준원은 2021년부터 산업, 학계,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AI 윤리 표준화 포럼에서 이 KS에 대한 논의와 검증을 거쳐 개발하였습니다.

윤리-항목-점검표-사진
윤리 항목 점검표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웹사이트]

최근 생성형 AI 서비스의 확산으로 인해 AI의 윤리적인 사용이 논의되는 상황에서, AI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 시에 필요한 윤리적 고려사항을 제시하고 자체 점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로 활용될 것입니다.

윤리적 고려사항과 자가 점검방안

이 KS는 AI 개발자, 서비스 제공자,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윤리적 고려사항과 자가 점검서식을 제공합니다.

사용-사례-예시-사진
사용 사례 예시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웹사이트]

투명성, 공정성, 책임성과 같은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자가 점검서식의 작성 방법이 소개되었으며, 실생활에서 활용도가 높은 챗봇, CCTV, 교육 서비스 등을 포함한 10가지 사용 사례도 발표됩니다.

기업들의 KS 윤리 표준 적용방안

설명회에서는 에스케이씨엔씨(SK C&C), 엘지전자, 위니아 등의 기업들이 KS 윤리 표준을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한 방안도 공유됩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AI 윤리 문제에 대비하고 자체적으로 윤리적인 AI 개발과 서비스 제공에 임할 수 있게 됩니다.

국내 AI 산업의 신뢰성 강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

국가기술표준원은 KS 윤리 표준이 기업들에게 AI 윤리 문제 대비에 큰 도움을 주며,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하였습니다.

 

AI의 의미와 전망

인공 지능(AI)은 최근 몇 년 동안 기술이 크게 발전해 왔습니다. 최근 들어, 챗GPT가 이슈로 떠오르며, AI가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대중화가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고, 다양한 산업을 변

gameqasound.tistory.com

이를 통해 국내 AI 산업의 신뢰성을 강화하고,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AI 국제표준화를 적극 추진할 것이라 밝혔습니다.

요약

AI의 윤리적 사용 문제는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중요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국가기술표준원의 AI 윤리 점검 서식 KS 제정은 기업들에게 윤리적인 AI 개발과 서비스 제공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국내 AI 산업의 신뢰성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