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와 Android의 차이점 스마트폰이나 PC의 OS란, Operation System(운영 체제)을 약한 말로, 앱이나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기본의 소프트웨어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은 OS마다 개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어느 OS를 향해 만든 애플리케이션을 다른 OS에서 움직이려고 해도 움직이지 않습니다. iOS는 Apple사가 만드는 OS로, Apple사가 만드는 기기 이외에는 탑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안드로이드는 구글사가 만드는 OS로 삼성, 소니, 화웨이 등 다양한 회사가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만들고 있습니다. 세계 전체의 현황은 Operating System Market Share에서 2019년 12월 데이터를 살펴보면 Android 점유율은 70.0%, iOS 점유율은 29...
WEB3.0이란? WEB3.0이란, '분산형 인터넷'이라고 불리는 차세대의 인터넷입니다. 지금까지의 인터넷에서는 거대 기업이 많은 정보들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블록체인을 비롯한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분산 관리함으로써 거대 기업과 함께 상생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 WEB3.0입니다. WEB3.0까지의 변천사 WEB3.0이라는 단어는 WEB1.0과 WEB2.0 다음에 오는 인터넷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지금까지의 인터넷은 크고 WEB1.0과 WEB2.0의 시대로 나눌 수 있습니다. WEB1.0의 시대는 바로 인터넷의 시작된 시기로 인터넷이 대중화된 1990년대의 웹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당시의 콘텐츠는 html로 작성되어, 회선의 속도도 느렸기 때문에, 텍스트가 주체가 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커뮤니케이..
QA란? QA는 "Quality Assurance"의 약칭으로 품질 보증을 의미합니다. 또한 엔지니어로서는 IT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등 작업물의 대한 품질을 보증하는 엔지니어를 가리키는 명칭입니다. QA는 버그가 없는 것만을 보증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등에 있어서의 개발 프로세스나 테스트 공정, 테스트 결과의 분석, 고객에게의 서비스 등 결과물에 관련된 모든 품질 보증을 담당합니다. 테스터란? 테스터란 시스템에서 테스트 항목을 실시하고 버그가 있으면 보고하는 업무를 전문으로 합니다. 테스트에는 단위 테스트나 결합 테스트, 종합 테스트와 같은 단계에서 테스트 엔지니어가 작성한 테스트 항목서를 바탕으로 테스트를 실행합니다. 주요 성과는 "버그를 없애는 것"입니다. 시스템 규모가 크면 그만큼 다수의 항..
NFT(Non-Fungible Token)의 의미 NFT란 'Non-Fungible Token'의 약칭으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인터넷상에서 교환하는 암호 자산)'입니다. 토큰을 직역하면 표시나 상징입니다만, 가상 통화의 세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발행된 가상 통화를 가리킵니다. 그리고 Non-Fungible(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해 Fungible(대체 가능) 토큰도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FT(Fungible Token/대체 가능한 토큰)의 예로는 비트코인이 있습니다. 비트코인에는 개별 데이터의 거래 이력이나 식별 정보가 부여되지 않고 데이터로서 취급되므로 대체가 가능합니다. 한편, 디지털 데이터의 복제나 변조를 막는 암호 기술을 이용해, 블록체인에 의해, 유일무이의 증명이 붙은 디..
빅데이터 란 빅데이터란, 날마다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군을 말합니다. 그 명확한 정의는 정해져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IC교통카드에 기록되는 승차 이력이나 GPS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위치 정보, 메일의 내용, SNS의 투고나 코멘트 등의 데이터가 대량으로 축적된 것을 빅 데이터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의 특징 빅 데이터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Volume(양) 방대한 용량을 갖고 있습니다. (기준: 수 테라바이트~수 페타바이트) Variety(종류) 열과 행으로 표현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텍스트, 음성, 이미지, 동영상, 위치 정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Velocity(속도) 발생 속도 및 빈도가 높고, 그 처리에도 속도가 요구됩니다. 빅데이터의 구성 유형 빅데이터는 ..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은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일종입니다. 블록이라고 불리는 단위로 거래 이력을 암호화 기술에 의해 취급해 그것을 체인, 즉 사슬과 같이 연결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보관하는 것으로부터 블록체인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특징을 간단히 말하면 정확한 거래 이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정확성이 보장되는 이유는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참가자 중에서도 부정을 일하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데이터의 파괴·조절이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 거래의 구조는 장애등에 의해 정지하는 일이 없습니다. 기존의 클라우드 서비스 등은 서비스 제공업체 한 회사를 신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한편, 블록체인은 다수의 참가자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분산 유지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서비스의 이용 존속..
AR이란? AR은 "Augmented Reality"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일반적으로 "증강 현실"로 번역됩니다. 구체적으로는, CG(디지털 정보)와 실제로 있는 화상이나 영상(현실 세계)을 조합해, 현실의 세계에 가상공간을 만들어 내는 기술입니다. 스마트폰용 게임 콘텐츠나 관광업 등의 영역에서도 활발히 도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AR에서는 자신이 실제로 보는 현실의 풍경에 디지털 기술로 만들어진 다른 정보를 추가하여 현실을 확장합니다. 현재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여하는 것이 주류입니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뿐만 아니라 스마트 글라스라고 불리는 안경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시야의 일부에 디지털 정보를 표시시키는 방식도 있습니다. VR이나 MR과의 차이 AR과 비교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