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3.0이란? WEB3.0이란, '분산형 인터넷'이라고 불리는 차세대의 인터넷입니다. 지금까지의 인터넷에서는 거대 기업이 많은 정보들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블록체인을 비롯한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분산 관리함으로써 거대 기업과 함께 상생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 WEB3.0입니다. WEB3.0까지의 변천사 WEB3.0이라는 단어는 WEB1.0과 WEB2.0 다음에 오는 인터넷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지금까지의 인터넷은 크고 WEB1.0과 WEB2.0의 시대로 나눌 수 있습니다. WEB1.0의 시대는 바로 인터넷의 시작된 시기로 인터넷이 대중화된 1990년대의 웹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당시의 콘텐츠는 html로 작성되어, 회선의 속도도 느렸기 때문에, 텍스트가 주체가 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커뮤니케이..
QA란? QA는 "Quality Assurance"의 약칭으로 품질 보증을 의미합니다. 또한 엔지니어로서는 IT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등 작업물의 대한 품질을 보증하는 엔지니어를 가리키는 명칭입니다. QA는 버그가 없는 것만을 보증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등에 있어서의 개발 프로세스나 테스트 공정, 테스트 결과의 분석, 고객에게의 서비스 등 결과물에 관련된 모든 품질 보증을 담당합니다. 테스터란? 테스터란 시스템에서 테스트 항목을 실시하고 버그가 있으면 보고하는 업무를 전문으로 합니다. 테스트에는 단위 테스트나 결합 테스트, 종합 테스트와 같은 단계에서 테스트 엔지니어가 작성한 테스트 항목서를 바탕으로 테스트를 실행합니다. 주요 성과는 "버그를 없애는 것"입니다. 시스템 규모가 크면 그만큼 다수의 항..
NFT(Non-Fungible Token)의 의미 NFT란 'Non-Fungible Token'의 약칭으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인터넷상에서 교환하는 암호 자산)'입니다. 토큰을 직역하면 표시나 상징입니다만, 가상 통화의 세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발행된 가상 통화를 가리킵니다. 그리고 Non-Fungible(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해 Fungible(대체 가능) 토큰도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FT(Fungible Token/대체 가능한 토큰)의 예로는 비트코인이 있습니다. 비트코인에는 개별 데이터의 거래 이력이나 식별 정보가 부여되지 않고 데이터로서 취급되므로 대체가 가능합니다. 한편, 디지털 데이터의 복제나 변조를 막는 암호 기술을 이용해, 블록체인에 의해, 유일무이의 증명이 붙은 디..
빅데이터 란 빅데이터란, 날마다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군을 말합니다. 그 명확한 정의는 정해져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IC교통카드에 기록되는 승차 이력이나 GPS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위치 정보, 메일의 내용, SNS의 투고나 코멘트 등의 데이터가 대량으로 축적된 것을 빅 데이터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의 특징 빅 데이터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Volume(양) 방대한 용량을 갖고 있습니다. (기준: 수 테라바이트~수 페타바이트) Variety(종류) 열과 행으로 표현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텍스트, 음성, 이미지, 동영상, 위치 정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Velocity(속도) 발생 속도 및 빈도가 높고, 그 처리에도 속도가 요구됩니다. 빅데이터의 구성 유형 빅데이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