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의 커뮤니케이션 방안과 과제 저는 IT어플 개발회사, 게임개발 회사등 QA로 근무한 지 6년 정도 지났습니다. 다른 부서 분들과 가장 많이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직무이다 보니, 서로 간의 마음이 맞아서 프로젝트 진도가 빠르게 진행될 때도 있었고,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QA로 회사 생활을 하면 필연적으로 겪어야 할 커뮤니케이션과 그 방안에 대하여 생각들을 기록해 보겠습니다. QA 업무 특수성 QA는 말 그대로 제품의 퀄리티를 높이고, 품질을 개선하는 업무입니다. 근데 사실상 업무를 하다 보면 테스트나 버그 찾는 일이 주 업무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과정에서 버그나 개선해야 될 부분들을 찾게 되고, 해당 부분들을 각 직무 담당자들에게 전달해야 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업무 특성상 잘못..
IT업계에서 품질 관리와 품질 보증은 자주 QA/QC로 결합되어 불립니다. 이것은 QA/QC가 역할의 구분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며, 그렇게 사용됩니다. 전체적인 품질의 관한 프로세스를 QA/QC로 설명하는 게 일반적인 것이 되었습니다. 실무와 관련해 QA와 QC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있기 때문에 실무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다소 혼란이 올 수 있습니다. QA와 QC가 다른 역할인 이유 QA와 QC 사이에는 단순하면서도 명확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품질보증은 개발 진행 단계~ 개발 완료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 품질관리는 개발완료부터 이루어집니다. QA/QC의 차이점 품질 보증(QA) QA는 개발 주기에서 초기부터 시작됩니다. 정적 테스트와 같은 특정 테스트는 소프트웨어가 완전 구현 및 작동되기 전에 수행..
QA란? QA는 "Quality Assurance"의 약칭으로 품질 보증을 의미합니다. 또한 엔지니어로서는 IT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등 작업물의 대한 품질을 보증하는 엔지니어를 가리키는 명칭입니다. QA는 버그가 없는 것만을 보증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등에 있어서의 개발 프로세스나 테스트 공정, 테스트 결과의 분석, 고객에게의 서비스 등 결과물에 관련된 모든 품질 보증을 담당합니다. 테스터란? 테스터란 시스템에서 테스트 항목을 실시하고 버그가 있으면 보고하는 업무를 전문으로 합니다. 테스트에는 단위 테스트나 결합 테스트, 종합 테스트와 같은 단계에서 테스트 엔지니어가 작성한 테스트 항목서를 바탕으로 테스트를 실행합니다. 주요 성과는 "버그를 없애는 것"입니다. 시스템 규모가 크면 그만큼 다수의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