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QA는 기획서 리뷰 단계를 거쳐서 기획서가 확정되면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하여 테스트를 준비해야 합니다. 저는 부끄럽게도 QA로 처음 입사할 때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하는 법과 엑셀 사용법을 잘 알지 못해서 입사한 회사의 테스트케이스 양식을 사용하거나 웹 검색을 통해 누군가가 제작한 테스트케이스 양식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고는 했습니다. 신규로 제작하려고 해도 엑셀에 어떤 부분을 사용해서 작성해야 할지 난감했고, 양식을 분석하는 것도 어려웠습니다. 제가 겪은 어려움을 덜 겪도록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하는 주니어 QA, QA지망생 등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표 만들기

일단, 해당 함수 및 세팅을 숙지하면 응용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최대한 쉽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표를 다음과 같이 만들어 줍니다.

Pass : 테스트 통과

Fail : 테스트 실패

N/A (Not Available) : 테스트 불가

Incomplete : 테스트 미실행

표 만들기

상단 통계

D2 : Pass의 통계가 출력되는 칸
=COUNTIF(H11:H17,"Pass") 만약에 텍스트 값이 Pass 일 경우 카운트를 1 올려주는 함수
D3 : Fail의 통계가 출력되는 칸
=COUNTIF(H11:H17,"Fail") 만약에 텍스트 값이 Fail 일 경우 카운트를 1 올려주는 함수

D4 : N/A의 통계가 출력되는 칸
=COUNTIF(H11:H17,"N/A") 만약에 텍스트 값이 N/A(Not Available) 일 경우 카운트를 1 올려주는 함수

D5 : Incomplete의 통계가 출력되는 칸

=COUNTIF(H11:H17,"Incomplete") 만약에 텍스트 값이 incomplete일 경우 카운트를 1 올려주는 함수

D6 : 테스트 성공률이 출력되는 칸이고, 성공률 이므로 결과 값을 D2(총 Pass값)로 나누어 주면 됩니다.

=D2/(D2+D3+D4+D5) 처음에는 합산할 값이 없기 때문에 함수가 깨진 것처럼 출력되는데 값을 입력하면 올바른 값으로 출력됩니다. 또한 값이 소수점 단위로 출력되는데 우리가 원하는 값은 퍼센트 이므로, 

표시형식 : 백분율

엑셀의 홈 -> 표시 형식에서 백분율로 바꾸어 줍니다.

 

H11:H17결과(Pass,Fail,N/A,Incomplete) 텍스트가 출력되는 열 입니다.

결과 텍스트

결과 텍스트가 입력되어야 상단 통계에 합산이 되기 때문에, 테스트 결과에 따라 결과 값을 텍스트로 입력하면 됩니다. 텍스트를 입력 후 구분이 되도록 색을 지정하는데 텍스트 입력 후 색을 지정할 경우 작업이 비효율적입니다. 텍스트 입력 시 자동으로 색이 적용되도록 색 서식을 지정해 보겠습니다.

조건부 서식
규칙 관리

위 이미지와 같이 결과가 출력되는 열 영역을 선택하고, 엑셀 홈 탭에서 조건부서식 -> 규칙관리-> 새 규칙을 실행해 줍니다.

결과값 하나 씩 입력 후 확인

다음을 포함하는 셀만 서식 지정 선택 -> 특정텍스트 선택 후 위 텍스트 입력 칸에 Pass 입력 후 구별을 위해 서식에서 텍스트 색을 파란색으로 바꾸어서 확인을 눌러줍니다. 위와 마찬가지로 Fail, N/a, Incomplete도 순서대로 입력, 서식에서 각각 구별되도록 색을 변경한 뒤에 확인을 눌러 줍니다.

규칙 적용 후

위 테스트 케이스 통계 예시 4가지를 모두 적용하고 나면 결과 셀에 Pass 등의 4가지 텍스트 입력설정한 서식(텍스트색)이 적용되게 됩니다.

드롭다운 리스트

위와 마찬가지로 비효율적인 작업을 줄이기 위해 드롭다운 리스트를 적용하겠습니다. 드롭다운 리스트 적용 시 텍스트를 입력할 필요 없이 선택을 하면 되기 때문에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데이터 유효성 검사

위 이미지처럼 데이터 유효성 검사에서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선택합니다.

데이터 유효성 텍스트 입력

데이터 유효성 팝업에서 제한대상에 목록 선택 -> 공백무시, 드롭다운 표시에 체크한 후 원본 란에 각 결과 항목에 대한 텍스트를 콤마 포함하여 입력하고, 변경 내용 모든 셀에 적용 체크 박스에 체크한 후 확인을 눌러 줍니다.

드롭다운 리스트 생성

위 이미지와 같이 각 테스트 결과 값에 대한 드롭다운 리스트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 텍스트 선택

테스트 결과에 따라 항목을 선택 시 상단 통계에 자동으로 값이 적용됩니다.


요약

IT업계에 QA로 종사하다 보니 테스트 케이스의 양식과 항목 작성에는 정답이 없으나, 위와 같은 함수와 세팅방법은 거의 모든 엑셀기반 TC에서 기본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부분 위 항목 적용 후 응용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케이스가 작성되므로, TC 양식 기본 작성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던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의 의미  (0) 2023.03.02
탐색적 테스트의 의미  (0) 2023.02.20
ChatGPT의 의미  (0) 2023.02.07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7가지 원리  (0) 2023.02.06
Python 개발의 장점과 단점  (0) 2023.01.31